후지필름의 X-Pro2를 사용하는 중이다. RF형 타입의 디지털 카메라인 우리의 프로투에는 나의 눈길을 처음부터 사로잡은 영롱한 자태와 함께, 처음 손에 쥘 때 느꼈던 그 웅장한 '하이브리드 뷰파인더' 의 위용이 함께 한다. 사실 이 기능을 자주 쓰지는 않는데, 최근 들어 몇가지 느낀점이 있어 몇줄 적어보고자 한다. (사실 룩딸용 장식인 줄 알았던 OVF에 몇가지 재밌는 기능이 있는걸 이제야 알아차려서 써보는거다.)

 

이런 식으로... 반대편 물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뷰파인더형식은 카메라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 레인지 파인더 (Rangefinder) 타입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사실 SLR 타입 카메라들이 발명되기 전까지 RF카메라들을 썼었고 이중상합치와 같은 방법으로 파인더에 의존하며 초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사용했었다. 후지필름의 HYBRID VIEW FINDER는 그 후계로 전자 정보의 투영과 함께 실제 상을 보여주며 두가지 방식의 장점을 합친 것이다...라는 것이 컨셉이기는 한데.

 


 

Pro 시리즈는 반쪽이라는 놀림을 받기 일수였다. 사실 야시카의 뒤를 이어 가난한 자의 LEICA와 같은 별명을 가지고 있는 후지필름은 좀 비슷한 면이 있기는 했다. RF도 사실 RF가 아니잖아? 리어 디스플레이 때먹는 것도 라이카가 먼저했잖아? 그래도 이 것 참 저 필름 카메라 뒷판을 그대로 이식해버린듯한 모습은 신박하기는 하다. 조금 아쉬운건, 달려볼까 하다가 브레이크 밟은 느낌인데, LCD를 아예 삭제해버리면 어떤 결과가 나왔을 지 궁금하기는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실 나도 라이카 사고 싶었는데, 보면 볼 수록 이거 볼매라니깐?

RF도 내가 원조, 노 디스플레이도 내가 원조 (M10-D)

 


 

여간 이번에 이 '하이브리드 뷰파인더'를 탐구하고 느낀 점은,

"이놈 참 기똥차다"

라는 느낌이었다. 사실 RF주제에 이중상 합치도 안되고, 사실 스플릿 스크린이라는 놈이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써먹기에는 좀.. 거시기한 부분이 있기는 했다. 하지만 알아가면 알아갈 수록, 이 뷰파인더의 매력을 하나씩 알아갈 수 있었다.

 

일단 이걸 왜쓰냐구? 밑을 봐라 상보다 넓은 프레임이 잡혀져 있다. 이 것은 RF타입의 마력 그러니까 SLR방식의 (렌즈가) 보이는 데로의 방식이 아니라 우리 눈이 볼 수 있는 만큼 보이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렌즈가 보는 것과 다른 상을 보기 때문에 시차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실제 (사진)프레임 밖의 움직임과 주변의 모습을 파악하고, 이를 녹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라고 설명된다. 그래서 RF 타입은 필연적으로 존 포커싱* 방법이 이용된다.

 

*존 포커싱(Zone Focusing) : 걍 대충 맞추고 찍는다는 뜻, 주간에 f8맞추고 어림짐작으로 파파팟. 

저 네모칸이 실제 상이 맺히는 부분, 바깥 쪽을 확인 가능하다.
왼쪽 아래에 초점이 맞을 부분을 표시한다(이 경우 미검출)

 

자 잘 봐라. 이걸로 실제로 촬영을 할 수 있다. OVF가 맘에 들지 않으면, EVF로 전환해서 맘편히 일반 DSLR, 미러리스에서 제공하는 뷰파인더의 기능을 만끽하면 된다. f8의 스트릿, 레디 투 슛의 자세로 OVF를 사용하고 싶은가? 전면의 레버를 당기면 ADVANCED HYBRID VIEWFINDER의 자태가 보여진다. 브레송, 카파, 하스 와 같은 방식으로 그들과 같이 호흡하라!!!!!!!는 것이다. 스트릿 포토그래피라는 장르에서 RF, Sneaky한 이런 카메라의 존재는 굉장히 유용했던 것이다. 프로2는 이런 계보를 계승하는 (그런 것치고는 매우 거대하다) 적통의 한 갈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후면 디스플레이의 정보가!
이렇게 표시가 된다. 우측하단은 초점이 맞는 부분을 스플릿 스크린에 띄워 보여준다.
잘 안보일 수도 있으니까 후지필름 공식홈페이지에서 명확히 올려둔 사진을 보여드리겠다.
눈이 노나진건 좀 무서운데? 애초에 상합치방식이 없다.고로 이건 구라.

 

위에서 확인할 수 있듯 다양한 정보를 표시해준다. 시도 조절기능은 EVF, OVF 모두에 같이 적용되며 위와 같이 라이브뷰에서 확인하는 모든 것을 OVF에서도 같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똑똑하게도 후지필름은 두 정보를 다르게 적용할 수있도록 패널을 분할해 두었다. 저 스플릿스크린이 아쉬운점은 너무 조그만하고, 보기가 힘들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피킹으로 초점을 맞추는데, 저 조그만한 곳에 포커싱을 맞추고 라인을 찾으려고 해봐도 영역이 너무 좁아 표시가 안되는 상황이 많이 발생했었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문제가 없는데, 저게 고장이 잘 난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어서 수리비가 두려운 것이다.

 

 

스플릿 스크린은 앞에서 보면 이렇게 생겼다.

 

전면에 보면 레버가 있는데 그걸 이리저리 조작하고, 눌러보면 다양한 기능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스플릿 스크린을 올렸다 내릴수 있다던가, EVF-OVF를 전환한다던가, 표시형식을 바꾼다던가...그 작은 화면에서 요런 깜찍한 기능들을 구성해두다니 놀라운걸? 그러니까 이건, 스마트폰에 기능이 다양하다던가, 그런 것과는 다르다. 그건 당연하지만 이건 당연하지 않잖아. 컨셉의 극한이다 싶으면서 즐길 수 있는 기능이니까 즐겁다. 기계식 손목시계를 보는 21세기생(生) 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듯.

 

좌측부터 차례로 35.4, 50/2, 27/2.8 렌즈 체결시

 

참고사항으로 렌즈가 커지면 이 유리창을 가리게 된다.  XF16-55mm f2.8 이나 XF50-140mm f2.8과 같은 대형 렌즈는 뷰파를 반넘게 차지하는 그런 모습도 보여주기도 하고, 아무래도 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프로투와 함께 하기로 결심한 나는 렌즈들을 처분했다. (사실 과분한 렌즈기도하고 룩딸용이 안된다.) 그렇기 때문에 OVF 사용을 하려면 쪼만한 렌즈들로 맞추는 게 좋다. XF56mm f1.2정도 까지는 쾌적한데 아마 80 macro나 90/2정도가 되면 거의 반정도는 가릴 것같다.

 


 

가장 놀라운 부분은 여기서 등장한다. 나는 이놈이 항상 유리창처럼 나에게 한결같은... 상을 보여줄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이놈은 나를 배반했다.

 

XF16mm f2.8 사용시의 OVF

 배율전환이 되는 모습이 보이는가!!!!!

 

위는 XF16mm f2.8 렌즈에서 XF50mm f2.0 렌즈로 렌즈교환을 시도하는 영상이다. 그런데, 보이는가? 여러분?

 

배율전환이, 가능하다!

 

나는 이걸 지금 이제야 알았다. 이녀석과 함께한 날이 2년이 넘었어도 이제야 안것이다. 섬세한 배려, 세심한 Tweak...기능을 처음 목도하고 나는 감탄을 금할 수 없었다...이 것이야말로 남자의 로망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정도면 나랑 동반할 수 있는 양품이다라는 생각이다.

Kanye가 Through the Wire를 불러제끼는 걸 본다.LE에서 자막을 달아준, LIVE버젼의 Late Orchestration 무대인데, 

드라마틱한 그의 회복과 재기, 사고를 버무린 가사와 함께 하면 나도 슈퍼맨처럼 다시 벌떡벌떡 일어날 수 있을 것 같다랄까

 

Abbey Road Studios, September 21, 2005

 

칸예가 기똥차게 불러제끼는 것도 있고, 부르면서 재밌고 행복해 보여서 뭔가 이걸 보면 가슴이 벅차오르는 기분이란게 느껴진다. 가사해석은 genius.com를 참조할 것!

 

 

Kanye West – Through the Wire

On October 23, 2002, Kanye crashed his car and fractured his jaw. The “Through the Wire” title comes from the fact that Kanye recorded the original version while his mouth was

genius.com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rple Kiss - Can We Talk Again  (0) 2021.11.18

애쉬크로프트 사의 앨런 2 모델이다. 사명을 곱씹어보면 항상 마이크로프트가 생각난다. 마이크로프트, 마인크래프트...본디 앨런 긴즈버그를 똑 둘로 나눠서 앨런, 그리고 아넬형의 긴즈버그를 디자인했다고 하는데, 쌍두지만 긴즈버그의 아성에

밀려 조금 서러운 친구다. 2020년? 에 리디자인 되었고, 이번년도 초에 리퍼브 이벤트가 있길래 덥썩 물었는데 꽤 마음에 들었다. 꽤 낙낙한 사이즈로 대두인 나를 커버해주는 고마운 친구다. 46사이즈로 구입했고 아마 48사이즈도 나오는 걸로 알고있다.

 

 

전면부다. 웰링턴 스타일. 색이 너무 예쁘고 아름답다.

 

사실은 아메리칸 옵티컬의 스타디움을 살까 생각했는데 돈도 없거니와 어울리지도 않을 것 같고 (신포도) 그지여서 마음을 접을 수 밖에 없었다.그러던 와중에 다크 카키 브라운 색깔의 이 놈을 보고 그냥 결제 신공을 쓰게 되었다.

 

AO Stadium
후보군 2였던 Tart Optical의 FDR

 

지워지고있어~
이게 경첩이 시트가 두꺼워서그런지 좀 못미덥기도 하고
템플 중간부터 단차가 생겨 가벼움을 준다.
코에서 자주 흘러내리는 나는 굉장히 마음에 드는 디테일이다.
엔드피스

무겁진 않은데, 무게는 느껴지기는 한다. 그러나 흘러내리지 않는 견고함이 나를 편안하게 이르게 한다. 안정감이 느껴지는 디자인과 동시에 날카로운 각을 뽐내고 있는 자태를 보라. 남자라면 이런 사각테 하나는 갖춰줘야 멋을 안다고 할 수 있다. 흐흐흐.

망쳤다고 생각한 면접에 뜻밖에 합격소식이 들려오고, 내가 해본 최악의 면접 답변에 대해서 적어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뭐 그렇게 별로는 아닌데?라고 말할 사람도 있겠지만 나는 이걸 가슴 속에 묻고 살아가고 있다. 어차피 내가 누군지 모를테니까 적는거다.

면접 후엔 항상 회한이...

 


 

내가 기억하는 최악의 면접 답안은 두개인데 하나는 예전의 것, 하나는 최근의 것이다. 첫번째는 예전 인턴면접을 보러 갔었을 때 이야기다. 인턴면접 중이었고 순조롭게 답변을 (그때는 그렇다고 생각했다) 이어나가던 중,면접관 중 한 분이 본인에게 "꿈이나 계획이 있냐" 고 물으셨다. 그때 나는 오만가지 생각이 들었다. 솔직하게 말해서 나는 꿈은 없었다. 막연하게 어떻게 해야지 이런 느낌도 전혀 없었고 그냥 학교나 졸업하고 공무원이나 준비할까? 아니면 자격증시험을 준비할까? 이런 식이었기에, 내딴에는 이걸 꿈이라고 얘기해야 되나 하는 양심의 가책이 존재했었나 보다. 결국 나는 (숙고가 아니라) 초도 지나지 않아 "꿈이 없다" 라고 대답을 내놨다. 그 답을 하는 순간 나는 탈락을 직감했다. 상담이나, 뭐 친구들과 얘기할때나 할 말을 면접장에서 꺼내놓는 순간 나에 대한 일말의 확신이 있었더라도 이를 접을 것임을 알았다. 사실 꿈이 없는 사람들은 많고 내가 그런 대답을 하는 게 죄도 아니지만, 회사 조직의 일원이 될 사람에게, 적어도 한국사회에서는 그런 대답을 듣는 것은 좋게 보이지 않을 것 같다.

 

 

두번째는 최근의 일인데,

 

면접장에도 늦게 도착하고 인적성도 제대로 준비하지 않은 면접이었다. 간절함은 있었고 내가 좋게 생각하고 성장가능성도 높은 기업이었지만, 정말 열심히 자소서를 준비했었지만, 서류합격이 붙은 이후 그 전의 노력을 잊어버렸다. 나의 특유의 나태함과 무사고(思考)성이 내 발목을 잡았었다고 생각한다. 여튼, 면접장 도착 후 가쁜 숨을 고르며 생전 처음 보는 인적성을 치고, 면접장에 들어갔다. 면접 중, (특이하게도 그 기업은 지원자에게 지원횟수와 타기업 탈락이유에 대해서 물어본다는 것을 잡플래닛을 통해 알고는 있었다.) 지원횟수와 타 기업 탈락이유에 대해서 물어보는 시간이 있었다.

 

타지원자들은 그들의 역경과 고난을 이야기했다. 1년을 공백가진 사람도 있었고, 더 긴 시간을 가진 사람도, 또 면접을 어려워 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 나는 고민했다. 한번 기업에 대한 로열티에 대해서 말해볼까? 나는 지원횟수를 진술함과 함께, 타 기업에서 합격사실을 통보받았지만 이 기업 면접을 보기 위해 거절했다는 것을 말했다. 반응은 시원찮았다. 면접관이 요즘 그렇게 하는 사람들 많다고 웃음을 지었는데 거기서 탈락을 직감했다. 후속 질문도 망쳤다. 거기에 대해서 더 잘 말할 수 있었는데 답을 일단 마쳐놓고 보자는 나의 생각이 번져 성급히 면접을 끝낼 수 밖에 없었다. 할까 말까 생각이 드는 순간, 브레이크를 걸어야 된다. 채용프로세스에 대한 경망(light-weighted?)한 나의 생각이 묻어들었다고 면접관이 생각했을 수도 있다는 상념이 나를 휩싸 안았다. 다행히 탈락 문자는 빠르게 왔고, 나는 회복할 수 있었다.

 


 

사실 이런 답변이 어떤 사람들한테는 용인할 수 있는 수준의 답변일 수도, 넘어갈 수 있는 디테일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리스크를 관리하고 예방할 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한 교훈이라고 생각한다. 이 두 답변에 이어서, 마지막 답변을 추가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을 가지며 오늘 아침일기 끝.

 

 

 

 

'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1/21 아침 잡기  (0) 2021.11.21
21/11/18 잡기  (0) 2021.11.19
21/11/17 Right to Repair, 늑장 시사  (0) 2021.11.17
21/11/12 취준생이라는 것  (0) 2021.11.12
21/04/24 첫 글  (0) 2021.04.24

아침을 잡기와 함께 시작한다. 반복되는 면탈에 심신을 추스릴 필요가 생겨 조금 친구들과 얘기도 많이 하고 가볍게 생각하면서 응어리를 좀 씻어낸 것 같다. 목표를 하나 세웠다. 삶의 '최소 기준'을 벗어나자는 것이다. 영어로는 Minimum Requirements로 지금까지 살아왔었던 삶의 최소한도만 노력하는 내 자신을 반성하겠다는 뜻이다. 최근들어서 삶의 속도에 점점 가속이 붙는 것이 느껴진다. 삶은 의미있어야 하는데 속도에 끌려가는 삶을 살기는 싫다. 내가 좋아하는 것에 의미를 가져다주고, 더 풍족하게 살고, 더 가치있는 삶을 가꾸어 나가자는 게 내 목표다.

 

 

 

'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1/23 아침 상념  (0) 2021.11.23
21/11/18 잡기  (0) 2021.11.19
21/11/17 Right to Repair, 늑장 시사  (0) 2021.11.17
21/11/12 취준생이라는 것  (0) 2021.11.12
21/04/24 첫 글  (0) 2021.04.24

오늘도 면접 탈락의 고배를 마신 것 같다. 면접을 보았는데 좋은 결과가 그려지지 않으니 아무래도 통보에 귀하의...로 시작되는 문구가 보이겠지 싶다. 항상 내 책임인 것 같아 가슴이 쓰라리다.

 

집에서 잘 되던 이어폰은 밖에 나가니 마이크가 안됬다..

아니 내 책임이 맞다. 면접을 앞두고 대비도 제대로 안하고, 잠이나 자다가 갔으니 조금더 준비하고 꼼꼼히 준비물도 챙겼어야 됬고, 환경도 충분히 테스트해볼 시간을 가졌어야 되는데 그러지 않았으니 좋은 결과가 나올리가 없지. 게으름피우는 거 진짜 고쳐야 하는 버릇이다. 오늘도 '반성'이다.

 

 


금일 한일

 

면접보기 (H사)

가방 끈 수리

구두 굽 보강

자격시험 준비

 

 

'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1/23 아침 상념  (0) 2021.11.23
21/11/21 아침 잡기  (0) 2021.11.21
21/11/17 Right to Repair, 늑장 시사  (0) 2021.11.17
21/11/12 취준생이라는 것  (0) 2021.11.12
21/04/24 첫 글  (0) 2021.04.24

 

윽.

미 서부항 물류적체 전망

 

Covid로 인한 물류적체, 글로벌 공급망이 병목에 시달리고 있다. 원자재의 가격은 상승하고 공급망을 유지하기 위한 물류비용이 증가하면서, 물류를 처리하기 위한 자원도 부족하니 지금은 물류 종사자에게는 사면초가인 상황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팬데믹 이후에 시장의 활력도 떨어지고, 수출입물량이 감소하면서, 선복공급은 원활해지지 않았는데 회복의 기미가 보이고 임금 보조 패키지와 함께 소비가 활성화되며 풍선효과로 터지고 있는 현상이고 판매대비 재고율은 역대 최저를 기록하고 있다. (코스트코 같은 업체는 벌크선을 빌려서 자사 물동량을 운반하고 있다는 뉴스도 들린다). 항만, 육운 분야에서도  미국에서는 aid와 실 근무의 차이가 크지 않아 근무를 포기하고 있다는 뉴스 (트러커와 항만 종사자 구인난 - 사실 한국도 비슷한 문제를 겪고있다?)도 있다. 또한 중국이 수출회복을 빨리해서 선복량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선복수요 증가는 당연히 배선 증가를 이끌기 때문에, 한국같은 경우 중국으로 향할 배를 잡기위해선 더 불러야되는 상황이 왔다. 기계류, 반도체류가 가장 타격을 많이 입었고, 컨테이너도 회전율이 박살나서 각국에서컨테이너 회수가 어렵고, 또 이를 타개하기 위해 fee를 올려 청구하는 등 심각한 상황이다.

 

복합적인 문제가 얼기설기 얽혀있다.어떻게 해야하나싶다.

 


참고자료

 

https://www.chosun.com/economy/int_economy/2021/10/15/NI7RRHSG7FGDHM46S6AA6HSCQI/

 

아마존은 화물기 사들이고, 코카콜라는 화물선 통째로 전세 내

아마존은 화물기 사들이고, 코카콜라는 화물선 통째로 전세 내 美기업들, 물류대란 자구책 마련

www.chosun.com

https://www.sedaily.com/NewsVIew/22SNUPH3I7

 

'쇼핑대목 놓칠라'…월마트, 빈 선반 채우러 벌크선까지 빌린다

선사 MSC의 화물선이 컨테이너를 가득 실은 채 미국 캘리포니아의 로스앤젤레스(LA) 항구 입항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AFP연합뉴스마셜제도 국적의 드라이 벌크선 ‘플라잉버트레스’호는 원래

www.sedaily.com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110160021 

 

주차장 된 바다 항만 병목 현상에 물류대란 경고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물류 대란으로 신음하고 있다. 미국의 대아시아 무역기지 서부 항만에는 수많은 컨테이너선이 입항을 못 해 바다가 마치 육지 주차장

www.wowtv.co.kr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22637#home

 

美, 공급망 병목 해소에 20조원…軍 투입해 내륙 수로 깐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공급망 병목현상 해소와 물류대란 해결을 위해 항만·수로 개선에 대규모 예산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항만 건설과 내륙 수로 개척 공사에 총 40억

www.joongang.co.kr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031_0001633796 

 

[전문]문재인 대통령의 공급망 회복력 관련 글로벌 정상회의 발언문

[로마(이탈리아)=뉴시스]/정리 김성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의 공급망 회복력 관련 글로벌 정상회의 발언문 전문> 존경하는 바이든 대통령님, 각국 정상 여러분, 일상 회복의 시간이 다가오면서

www.newsis.com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20040#home

 

中 빼고 동맹 소집한 바이든…한국은 ‘공급망 패권주의’ 시험대 올랐다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마지막 날인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일본·영국 등 14개국 정상을 따로 불러 글로벌 공급망 문제를 논의했다. 이날 바이

www.joongang.co.kr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07/668709/

 

中, 화물선 독식에…韓 수출품 실을 배가 없다

中기업, 운임 두배이상 주며 외국선사의 짐칸 입도선매

www.mk.co.kr

http://www.financialreview.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64 

 

[국제리뷰] 코로나발 구인난, 물류대란으로 이어져 - 파이낸셜리뷰

[파이낸셜리뷰=남인영 기자] 코로나19가 불러온 조기 은퇴 붐이 전세계 물류대란을 일으키고 있다. 코로나19를 전후로 재택근무가 전세계에 확산이 됐다. 그리고 코로나19 이후 전세계에 물류량

www.financialreview.co.kr

 

공식 로고

 

매장에서 나온 음악이 좋아서 찾아보았다. 롯데리아에서 들었었나? 좀 되기는 했다.

 

Purple Kiss - Can We Talk Again

찾아보니까 이거더라구 마마무 소속사 (RBW) 에서 나온 걸그룹이라고 하는데 데뷔는 21년 3월 쯤에 했다고 한다. 무대는 찾아보지 않았는데, 싱글 두개 ponzona, Can We Talk Again 정도 들어봄. 보통 아이돌 그룹이 들고 나오는 분위기나 음악이랑 굉장히 상반된 분위기고 미디엄 템포 발라드를 소화해내는 보컬라인의 음색이나 기본기도 탄탄해서 매력적이다.

 

 

Purple Kiss - My Heart Skip a Beat

이건 프리 데뷰 곡, 그러니까 이 레드, 그리고 Can We Talk Again 에서 보여준 블루가 융화해서 Purple Kiss의 보랏빛 색의 컨셉을 보여준다는 느낌같은데 아무리 봐도 퍼렁색이 좋은 건 취향인가. 근데 아무리 찾아봐도 performance ver. 가 아닌 일반 버전은 찾을 수 가 없었다.

 

 

Purple Kiss - Ponzona

가사가 포부를 말해주는 야심찬 곡 베이스라인이 좋다. 바이올린의 사용과 함께, 퍼커션이 들어가는 것도 매력적이다. 서서히 퍼져가 이부분 보컬 goood, Lalalala 여기도 되게 중독적이고, 여튼 전반적으로 듣기 편함. 즐겁게 잘 들었습니다!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 힘들땐...  (0) 2021.12.03

+ Recent posts